운영체제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컴퓨터와 사용자 간에 중간단계에 위치해 있으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단계에 위치해 있으며, 처리능력(Throughput), 신뢰도(Reliability), 사용가능도(Availability)의 향상과 반환시간(Turnaround time)을 단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과 같은 자원의 스케줄링관리, 시스템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제어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며 컴퓨터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운영체제의 주요기능
1) 프로세스관리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가장 하위 단위 수준으로 프로세스 스케줄링을 통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추적 관리합니다.
2) 주기억장치관리
주기억장치의 접근을 관리 제어하는 장치부분으로 주소변환, 기억보호, 버퍼기억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3) 보조기억장치관리
하드디스크와 같이 보조 기억장치에 대한 접근관리, 제어 등을 수행합니다.
4) 입출력시스템관리
중앙처리기억장치와 외부 입출력장치 사이의 효율적인 통신방법을 제공하며 주변장치라고도 합니다. 주로 키보드와 마우스, 디스플레이장치, 프린터와 보조저장장치등이 있습니다. 입출력장치라고도 합니다.
5) 파일시스템관리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파일단위로 관리하며 저장장치에 파일단위로 저장합니다.
6) 에러검출 및 응답
메모리에러, 디바이스 결함 등의 내, 외부 하드웨어 에러를 관리하며 금지된 메모리영역 접근을 관리합니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중간사이에 존재하며, 처리능력, 신뢰도, 사용가능도, 반환시간의 요소들이 있습니다. 주요기능은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주기억장치관리를 하게되는데 메모리의 주소와 내용등을 관리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보조기억장치관리는 하드디스크나 CD와 같은 장치에 대한 관리 제어를 합니다. 입출력시스템관리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 모니터와 같은 입출력 장치를 관리합니다. 파일시스템관리에서는 시스템이 보유하는 파일을 관리 및 조작합니다. 에러검출 및 응답에서는 에러를 검출하고 관리합니다.
이번에 포스팅한 내용은 말 그대로 직관적인 단어들로 이해하기에는 쉽지만 각 주요기능들을 외우기엔 무리가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각 요소들의 내용을 보고 단어를 유추할 수 있을 정도는 학습해야 할 것 같습니다. 시험을 위해서라면 유추할 수 있어야 하고, 학습 목적이라면 이해하시고 넘어가시면 될것 같습니다.
'ComputerTe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장치의 종류 (0) | 2017.12.04 |
---|---|
프로세스 스케줄링 (0) | 2017.12.03 |
프로세스에 대하여 (0) | 2017.12.02 |
운영체제의 구조와 발전 (0) | 2017.11.30 |
정보 기술 아키텍처(ITA) (0) | 2017.11.28 |